결혼을 앞둔 예비 부부라면 반드시 거쳐야 할 관문 중 하나가 바로 상견례입니다.
상견례는 양가 부모님이 처음 만나 서로를 알아가는 중요한 자리이므로,
준비를 철저히 해야 좋은 인상을 남길 수 있습니다.
선물부터 옷차림, 음식, 대화 주제, 예절까지 꼼꼼하게 정리한 상견례 가이드를 소개합니다.

1. 상견례 선물: 부담 없는 센스 있는 선택
양가 부모님께 드리는 작은 선물은 상견례 분위기를 따뜻하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됩니다. 너무 부담스럽지 않으면서도 정성을 담은 선물이 좋습니다.
추천 선물 리스트
- 건강식품: 홍삼, 유산균, 비타민 등 부모님 건강을 고려한 선물
- 과일 바구니: 신선한 과일을 담아 정갈하게 포장한 선물
- 전통 다과/한과: 깔끔한 포장과 함께 부모님이 즐기시기 좋은 간식
- 고급 차 세트: 부모님이 좋아하시는 차 종류를 선택해 품격 있는 선물
- 꽃바구니: 가볍게 분위기를 밝히기 좋은 선택

선물은 양가 부모님의 취향을 고려해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며, 너무 고가의 선물은 부담을 줄 수 있으니 적당한 가격대에서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상견례 옷차림: 단정하고 격식 있는 스타일
첫인상은 상견례 자리에서도 매우 중요합니다.
격식을 갖추면서도 과하지 않은 단정한 스타일이 적합합니다.
예비 부부 옷차림
-남성: 깔끔한 셔츠와 재킷, 슬랙스 또는 세미 정장
-여성: 너무 화려하지 않은 원피스 또는 단정한 블라우스와 스커트
양가 부모님 옷차림
-아버지: 단정한 정장 또는 세미 정장
-어머니: 밝은 색감의 단아한 원피스 또는 정갈한 투피스
너무 캐주얼한 차림이나 너무 과한 드레스업은 피하는 것이 좋으며, 전체적으로 단정하고 세련된 인상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상견례 음식: 분위기와 편안함을 고려한 선택
상견례 장소는 서로 부담 없이 대화할 수 있는 곳으로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1인 1메뉴가 나오는 레스토랑이 가장 무난한 선택입니다.
추천 음식 종류
-한정식: 정갈한 음식과 한식 특유의 따뜻한 분위기로 선호도가 높음
-일식 (코스요리): 깔끔한 구성과 고급스러운 분위기 연출 가능
-양식 (파인다이닝): 고급 레스토랑을 원할 경우 선택 가능
뷔페는 각자 음식을 가지러 가야 해서 대화가 끊길 가능성이 있어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상견례 대화 주제: 자연스럽고 긍정적인 이야기
상견례 자리에서는 서로의 가정을 이해하고 긍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벼운 주제로 대화를 시작하고, 공통점을 찾아가는 것이 좋습니다.
추천 대화 주제
-가족 소개 및 자녀 칭찬: 서로의 가정과 자녀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친근한 분위기 형성
-결혼 준비 진행 상황: 예식장, 신혼집 등 결혼 준비 과정 공유
-직업과 취미: 가볍게 서로의 관심사를 나누는 대화
-첫 만남 에피소드: 예비 부부의 첫 만남이나 연애 스토리를 공유하면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만들 수 있음
반면, 정치, 종교, 예민한 가정사, 금전 관련 이야기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상견례 비용: 예비 부부가 조율하는 방식
상견례 비용은 전통적으로 신랑 측에서 부담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비용 부담 방식
- 양가가 반반씩 부담: 가장 공평한 방식으로 많이 선택됨
- 예비 부부가 부담: 부모님께 부담을 드리지 않기 위해 예비 부부가 비용을 지불하는 경우
- 신랑 측 부담: 전통적인 방식으로, 지역이나 가풍에 따라 적용될 수 있음
어느 쪽이든 사전에 조율하고 합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 상견례 예절: 기본 매너 체크
상견례 자리에서의 태도와 예절은 좋은 인상을 남기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기본 매너
- 밝고 예의 바른 태도 유지: 미소를 띠고 존댓말 사용
- 식사 매너: 음식은 천천히 먹고, 부모님이 먼저 드시도록 배려
- 과음 주의: 술자리가 있을 경우, 적당히 마시고 분위기를 흐리지 않도록 함
- 인사와 감사 표현: 첫 만남이니만큼 인사와 감사 인사를 정중히 전하는 것이 중요함
좋은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
상견례는 단순한 식사가 아니라 양가가 처음 만나 인연을 맺는 중요한 자리입니다.
너무 긴장하기보다는 자연스럽고 따뜻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로를 존중하는 태도와 적절한 준비를 통해 좋은 인상을 남긴다면, 상견례가 즐거운 추억이 될 것입니다.
'잡다한 팁,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금복권 720+ 1등·2등 당첨금, 실수령액, 구매 꿀팁 총정리 (1) | 2025.03.22 |
---|---|
2025년 농식품 바우처 신청 방법 (0) | 2025.02.18 |
미리채움 서비스로 주식 양도소득세 간편하게 신고하자 (~25.2.28일까지) (0) | 2025.02.18 |
대학생에 월 최대 20만 원 주거안정장학금 지원 (신청기간 : 3월 18일까지 ) (0) | 2025.02.06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청년과 기업 모두를 위한 도약 (0) | 2025.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