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
연금복권 720+란?
연금복권 720+는 매주 수요일에 추첨되는 복권으로, 1등에 당첨되면 매달 700만 원을 20년간, 2등은 매달 200만 원을 10년간 받는 구조예요.
즉, 한 번에 목돈이 아니라 매달 꼬박꼬박 ‘월급처럼’ 받는 거죠. 그래서 이름도 ‘연금’복권이랍니다.
육아비, 대출, 교육비 등 고정지출 많은 분들이라면 혹할 만한 시스템이에요.
1등과 2등, 당첨금과 실수령액은?
자, 그럼 본격적으로 실질적인 금액이 얼마나 되는지 알아볼게요. 당첨되면 얼마나 받게 되는지, 세금은 얼마나 빠지는지도 중요하잖아요.
✅ 1등 당첨금
총 당첨금: 월 700만 원 × 12개월 × 20년 = 16억 8천만 원
세율 적용: 복권 당첨금은 ‘기타소득’으로 분류되어 **22% 세금(소득세 20% + 지방소득세 2%)**이 부과돼요.
세후 월 수령액: 약 546만 원
총 실수령액: 약 13억 1,000만 원
☞ 매달 546만 원이 20년간 꼬박꼬박 들어오는 셈이니, 웬만한 직장 월급보다 안정적일 수 있어요!
✅ 2등 당첨금
총 당첨금: 월 200만 원 × 12개월 × 10년 = 2억 4천만 원
세율 적용 후 월 수령액: 약 156만 원
총 실수령액: 약 1억 8,720만 원
☞ 2등도 무시 못 해요. 10년 동안 150만 원이 들어오면 육아휴직 기간이나 맞벌이 한 축의 공백을 보완하기에 충분하죠.
당첨금의 과세 구조 간단 정리
연금복권 당첨금은 소득세법상 기타소득으로 간주되며, **세율 22%**가 고정으로 적용돼요.
이건 로또와 마찬가지인데, 로또는 3억 원 초과분에 대해 33% 세율이 적용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연금복권이 세금 부담이 덜하죠.
그래서 연금복권의 실수령액이 더 높은 느낌을 주는 거예요.
연금복권 가격과 구매 방법
✔ 가격
1장에 1,000원! 커피 한 잔 값이죠.
부담 없이 구매할 수 있는 게 또 하나의 장점이에요.
✔ 구매 방법
오프라인 구매
동네 복권방, 편의점, 로또 판매점 등에서 구매 가능해요.
숫자를 고를 필요 없이 자동 발급되는 시스템이예요. (번호 지정은 불가능)
온라인 구매
동행복권 공식 홈페이지 (www.dhlottery.co.kr)에서 로그인 후 구매 가능
1인당 일일 최대 10매(1만원 한도)까지 구매할 수 있어요.
주말 제외, 평일 6시부터 자정까지 구매 가능하다는 점 유의하세요.
연금복권 1등 당첨 확률은?
연금복권 720+는 1등 당첨 확률이 1/5,400,000이에요.
“그게 무슨 높은 확률이냐”고 하실 수 있지만, 참고로 로또 1등 확률은 1/8,145,060이거든요.
그러니까 로또보다 1.6배 정도 당첨 확률이 높다고 할 수 있어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인 포인트는?
“매달 고정 수입이라니 너무 좋다!”라고 생각하시겠지만, 물가 상승률도 고려해야 해요.
예를 들어 지금은 546만 원이면 넉넉한 느낌이지만, 20년 뒤엔 체감 가치가 지금보다 떨어질 수 있죠.
정액 지급 방식이라 인플레이션을 반영하지 않는 점은 꼭 유념하셔야 해요.
또 한 가지! 연금복권은 양도나 상속이 불가하다는 점도 체크해야 해요.
즉, 당첨자 본인 사망 시 연금 지급도 종료됩니다. 가족에게 넘어가지 않아요.
연금복권, 해볼만할까?
✔ 1장에 1,000원이면, 정말 말 그대로 ‘작은 투자, 큰 꿈’ 가능성은 있어요.
✔ 로또보다 확률도 높고, 세금도 적게 떼고, 무엇보다 매달 꼬박꼬박 들어온다는 건 큰 장점이죠.
✔ 특히 육아비, 교육비, 생활비 등 매달 고정 지출이 많은 가정이라면, 한 장쯤 사보는 것도 재밌는 경험이 될 수 있어요.
하지만 어디까지나 행운에 의존한 재테크라는 점은 잊지 마시고, 여윳돈으로 가볍게 즐기시는 걸 추천드려요.
저도 이번 주에 딱 한 장만 사볼까 해요. 혹시 아나요? 우리 중에 진짜 당첨자가 나올지도요!
'잡다한 팁,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견례 완벽 가이드: 선물, 옷차림, 음식, 대화, 예절까지! (0) | 2025.03.07 |
---|---|
2025년 농식품 바우처 신청 방법 (0) | 2025.02.18 |
미리채움 서비스로 주식 양도소득세 간편하게 신고하자 (~25.2.28일까지) (0) | 2025.02.18 |
대학생에 월 최대 20만 원 주거안정장학금 지원 (신청기간 : 3월 18일까지 ) (0) | 2025.02.06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청년과 기업 모두를 위한 도약 (0) | 2025.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