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관련

GTX-A노선 노선도 어디를 지나는지 알아봅시다.

by 고월천 2020. 3. 12.

    [ 목차 ]
반응형

2007년 경기도에서 국토부에 제안을 시작으로 2011년 제2국가철도망 구축계획 포함되어 착공에 들어간ㄴ

GTX-A노선!

 

GTX-A B C 노선 중에서 가장 빠른 진행을 보이고 있고 현재까지 유일하게 착공하여 공사가 진행중인 노선인데요.

 

이 노선이 얼마나 큰 편리함을 줄지는 이미 많은 사람이 알고 있습니다. 

 

 

수도권역급행철도 GTX-A노선은 파주 운정신도시 - 킨텍스 - 대곡 - 연신내 - 서울역 - 삼성 - 수서 - 성남 - 용인(구성) - 동탄을 지나게 됩니다. 

 

 

기존 지하철은 지하 20m 내외에서 운행하여 시속 40km 내외로 운행하지만

 

GTX는 더 깊은 40m의 깊이에서 노선을 직선화하여 시속 100km ~200km까지 운행하여 매우 빠른 이동이 가능하게 해줍니다. 

 

 

GTX-A는 동탄 - 수서 - 운정 약 83.1km 총 10개역을 정차할 예정이며

 

2017년 3월 부분착공(동탄-수서) ~ 2021년 부분개통

2018년 12월 착공 ~ 2023년 말 개통 목표를 하고 있습니다. 

 

사업비는 3조 3,641억, 수서평택노선 SRT노선을 공유하게 됩니다. 

 

 

 

빠른 GTX-A노선은 이동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될 예상이며 최대 80% 시간이 단축될 전망입니다!

(아침잠을 좀 더 잘 시간이 생기겠네요^^)

 

GTX-A 노선으로 인해 강남(삼성) 접근성이 매우 좋아지기 때문에 그 자체만으로도 정차역 주변의

집값이 들썩이고 있는데 그와 더불어서 GTX-A 정차역을 필두로 호재들이 상당합니다. 

 

-운정역 : 운정신도시, 통일경제특구 추진

-킨텍스역 : 국제회의 복합지구

-대곡역 : 대곡역세권개발

-연신내역 : 트리플역세권(3호선, 6호선, GTX-A)

-서울역 : 서울역 북부역세권 개발

-삼성역 : 영동대로 복합환승센터

-수서역 : 수서역세권 복합개발

-성남역 : 경간선 및 버스환승센터

-구성역 : 용인경제신도시, 플랫폼시티

-동탄역 : 동탄2신도시, 트램

 

 

 

다만, GTX-A는 이용요금이 다른 지하철노선보다 요금이 더 비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시간을 버는 만큼 요금을 더 지불한다고 생각해야겠습니다. 

 

 

GTX-A 노선은 하루 평균 30만명, 정거장 당 3만명이 이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고,

 

서울시와 국토부가 광화문역을 정차역으로 지정할지에 대한 논의가 되고 있어서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지체되지 않고 계획되로 2023년에 개통되기를 바랍니다!

 

 

 

 

 

<참고! GTX-A B C 예상노선도>

반응형